국토교통부

광역단위 노후 건축물
디지털 안전위치 플랫폼

건축물 안전정보를 디지털화 시킨 안전관리시스템의 개발로
노후건축물의 화재 및 붕괴 등의 위험상황을 사전에 예방합니다.

서비스 개요

Vision Icon
VISION

비전

건축물 생애주기 안전망 확보를 통한 국민 안전·안심 사회 구현

Business Target Icon
BUSINESS TARGET

사업 목표

노후 건축물 화재·붕괴 위험에 대응할 수 있는 신속·정확한 디지털 안전관리 체계 구축

Business Goal Icon
BUSINESS GOAL

최종 목표

노후건축물 안전정보 디지털화 및 광역단위 안전관리시스템 개발

성과 목표

성과목표 1

성과목표 ①

안전정보 디지털화

디지털 안전정보 (구조/화재) 구축

실태조사, 점검, 구조·화재 위험도 평가를 위한
안전정보 25종 중 필수 정보 15종 + 선택 정보 3종 이상

  • 1.1 안전정보 표준데이터 모델
  • 1.2 도면 안전정보 디지털화 기술
  • 1.3 도면 미보유 안전정보 예측 기술
성과 목표 관련 이미지
성과목표 2

성과목표 ②

신속 현장조사·점검

육안조사 대비 현장조사·점검 효율 50% 향상

현장조사·점검 (시간×비용×전문인력) 투입율 50% 절감

  • 2.1 외부 형상정보 자동 생성기술
  • 2.2 실내 공간정보 자동 생성기술
  • 2.3 신속 원격·자동화 안전점검 기술
신속 현장조사·점검 이미지
성과목표 3

성과목표 ③

광역 안전관리 및 실증

지자체 안전관리시스템 구축 및 서비스 모델 4종 개발
공통모델
  • ① 디지털 안전정보 DB
  • ② BIM·GIS 안전관리시스템
  • ③ 자가점검지원시스템
확장모델
  • ④ 사후대응 시스템
  • ⑤ 안전관리 계획 지원시스템 등
  • 3.1 디지털 통합관리 및 서비스 기술
  • 3.2 광역단위 디지털 안전관리 실증
  • 3.3 활용확대 제도·정책 개발
신속 현장조사·점검 이미지

안전정보 디지털화

  • · 기술정의 : 기존 세움터 보유 2D도면에서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안전정보만 선별 인식·추출하고 3D sBIM으로 디지털화하는 기술
  • · 대표성과물 : 도면 기반 안전정보 추출 및 3D sBIM 모델링 자동화 모듈(SW)
  • · 개발기술 : ①BIM 표준데이터모델 개발, ②AI기반 2D 도면 정보추출 및 3D 디지털화 기술, ③미확인 안전정보 예측기술
안전정보 디지털화 기술 흐름도

원격 현장조사·점검

  • · 기술정의 : 드론, 영상스캔 등 무인이동체를 이용한 원격 조사·점검 및 AI를 활용한 안전점검 구조결함탐지 자동화 기술
  • · 대표성과물 : 무인기 운영·임무장비, 결함탐지 자동화 모듈(SW)
  • · 개발기술 : ①외부 형상정보 조사 기술, ②실내 안전정보 조사 기술, ③구조 결함탐지 자동화 기술
원격 현장조사·점검 기술 흐름도

광역단위
안전관리시스템 및 실증

  • · 기술정의 : 지자체의 건축물 안전관리 업무 지원을 위한 디지털 정보 기반 BIM-GIS 안전관리시스템 개발 및 종합검증을 위한 지역단위 실증
  • · 대표성과물 : BIM-GIS 디지털 안전관리시스템(Prototype), 2개 지자체(고양, 서울) 250동 규모 실증
  • · 개발기술 : ①디지털 안전관리시스템 개발, ②광역단위 종합실증 및 서비스모델, ③디지털 기술 활용 제도·정책 개발
광역단위 안전관리시스템 및 실증 기술 흐름도

로그인

광역단위 노후 건축물 안전정보 시스템